오늘은 회사에서 개발기 레디스 오류가 발생한 상황에 대해서 정리해볼까합니다 :)
레디스 용량이 다 차서 MISCONF 오류가 발생하였는데, 레디스 용량이 다 찼던 상황은 처음이라 웃겼어요 ㅋㅋ
MISCONF Redis is configured to save RDB snapshots, but is currently not able to persist on disk. Commands that may modify the data set are disabled. Please check Redis logs for details about the error.
개념
Redis에서 발생하는 MISCONF 오류는 Redis가 RDB(snapshot) 파일을 디스크에 저장해야 하지만,
현재 저장할 수 없는 상태일 때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이 경우, Redis는 데이터의 영구 저장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쓰기(SET, INCR, DEL 등) 관련 명령어를 비활성화합니다.
원인
- 디스크 공간 부족: Redis가 스냅샷을 저장할 디스크 공간이 부족한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퍼미션 문제: Redis 프로세스가 RDB 파일을 저장할 디렉터리에 대한 권한이 없을 수 있습니다.
- 파일 시스템 오류: 파일 시스템 오류로 인해 디스크 쓰기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 AOF (Append Only File) 사용 중 문제 발생: AOF를 사용할 때 디스크에 쓸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면 이 오류가 날 수도 있습니다.
해결
redis-cli config set stop-writes-on-bgsave-error no
해당 명령어를 통해 일시적으로 쓰기가 가능하게 만들고, 키를 전체삭제 해버렸는데요!
개발기라 상관없을줄 알았는데 팀장님께서 그래도 한달간격으로 확인하고 삭제하라고하셔서 다음부턴 그렇게 할 예정입니다 허허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greSQL | 데이터 표준화 및 정규화 작업함수 - normalize (0) | 2024.07.12 |
---|---|
Database | 인덱스(Index) 아키텍처(Architecture) - 클러스터(Cluster) (0) | 2024.03.05 |
Database | 인덱스(Index)를 생성 시 주의할점 및 생성전략 (0) | 2024.03.04 |
Database | DB Query Optimizer의 실행계획 선택시, 고려 비용 요소들 (0) | 2024.02.28 |
PostgreSQL | 모니터링 SQL 정리 (0) | 2024.02.27 |
오늘은 회사에서 개발기 레디스 오류가 발생한 상황에 대해서 정리해볼까합니다 :)
레디스 용량이 다 차서 MISCONF 오류가 발생하였는데, 레디스 용량이 다 찼던 상황은 처음이라 웃겼어요 ㅋㅋ
MISCONF Redis is configured to save RDB snapshots, but is currently not able to persist on disk. Commands that may modify the data set are disabled. Please check Redis logs for details about the error.
개념
Redis에서 발생하는 MISCONF 오류는 Redis가 RDB(snapshot) 파일을 디스크에 저장해야 하지만,
현재 저장할 수 없는 상태일 때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이 경우, Redis는 데이터의 영구 저장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쓰기(SET, INCR, DEL 등) 관련 명령어를 비활성화합니다.
원인
- 디스크 공간 부족: Redis가 스냅샷을 저장할 디스크 공간이 부족한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퍼미션 문제: Redis 프로세스가 RDB 파일을 저장할 디렉터리에 대한 권한이 없을 수 있습니다.
- 파일 시스템 오류: 파일 시스템 오류로 인해 디스크 쓰기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 AOF (Append Only File) 사용 중 문제 발생: AOF를 사용할 때 디스크에 쓸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면 이 오류가 날 수도 있습니다.
해결
redis-cli config set stop-writes-on-bgsave-error no
해당 명령어를 통해 일시적으로 쓰기가 가능하게 만들고, 키를 전체삭제 해버렸는데요!
개발기라 상관없을줄 알았는데 팀장님께서 그래도 한달간격으로 확인하고 삭제하라고하셔서 다음부턴 그렇게 할 예정입니다 허허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greSQL | 데이터 표준화 및 정규화 작업함수 - normalize (0) | 2024.07.12 |
---|---|
Database | 인덱스(Index) 아키텍처(Architecture) - 클러스터(Cluster) (0) | 2024.03.05 |
Database | 인덱스(Index)를 생성 시 주의할점 및 생성전략 (0) | 2024.03.04 |
Database | DB Query Optimizer의 실행계획 선택시, 고려 비용 요소들 (0) | 2024.02.28 |
PostgreSQL | 모니터링 SQL 정리 (0) | 202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