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 개발Log
오늘은 회사에서 레디스 세션 체크를 통한 로그아웃 로직을 구현하며 알게 된 것을 정리해보려 합니다!Redis주소는 맞게 들어가는데, 왜 값을 못가져올까??처음 보는 상황에 많이 당황했었는데요..Spring Transactional을 사용하면 Redis와 다르게 처리가 되는 방식이라,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았던 것이었습니다!오랜만에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이라 한번 정리를 해보려 합니다. Spring framework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시,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관리를 위해 흔히 @Transactiona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Redis와 NoSQ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때는 @Transactional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이유와 Redis에서 트랜잭션을 사용하..
· Spring
회사에서 스프링 시큐리티를 컨트롤하다, 기존 Controller의 리턴값에서 불편함을 느껴 스터디를 진행해보았습니다. ResponseEntity란? Spring Framework에서 HTTP 응답을 나타내는 클래스입니다. 주로 MVC 컨트롤러에서 클라이언트에게 HTTP 응답을 반환할 때 사용됩니다. ResponseEntity는 응답의 HTTP 상태 코드, 헤더, 본문(Body) 등을 포함하는데 사용됩니다. HTTP 상태코드(Status Code) HTTP Headers 헤더는 키-값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캐시관련 헤더, 컨텐츠 헤더, 인코딩 등이 있습니다. 응답 본문(Body) 클라이언트로 전송될 응답의 본문을 나타냅니다. 주로 JSON, XML, HTML 등의 형식으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습니..
이진유진
'Spring' 태그의 글 목록